동주 매거진MAGAZINE

칼럼

간음죄 강간 준강간 조사 및 재판은 어떻게 대비하죠?

페이지 정보

법무법인동주

본문

간음죄 강간 준강간 조사 및 재판은 어떻게 대비하죠?

간음죄
 


전혀 예상치 못하게 간음죄에 연루될 경우 두려움과 불안감에 시달리실 수가 있습니다. 경찰로부터 연락이 온 순간 머리가 하얘지고 앞날이 캄캄해질 수도 있고요. 


하지만 차분히 상황을 이해하고 법적 대응 방안을 찾아보실 필요가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 법적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케이스도 존재하기 때문이지요. 


그렇기에 간음죄 사건에 직면한 분들께서는 어떤 상황에 처해있는지, 어떤 법적 대응이 가능한지 꼭 알아두셔야 합니다. 


이를 모르고 수사기관의 조사 과정에서 당황하여 불필요한 진술하거나 권리행사 포기하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습니다. 이 글에서는 간음죄 관련 법률 지식과 대응 방법의 예시를 공유해 드리겠습니다. 


이를 통해 강간 혹은 준강간 혐의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 취할 수 있는 구체적 대응 방안을 파악하실 수 있습니다.



<목차>


1. 간음죄 성립 요건 이해하기

2. 간음죄 입증책임과 증거수집 방법

3. 간음죄 법적 처벌과 양형기준

4. 형사절차가 진행되는 과정에선


AD_4nXdMUeLMKC5YSXYO8FD96UsPHX7ZXpiP3RoUYyIH_SV-GijVyeQpodawNk6E0AL2J8n5neFOpwznwgQIrPsXWp4vM_34ApuwMDILEcGWB70PtZR6_DbTifJGnOCRlgdEXA-tWUYILlVToxY2gWb1x4tOYHTA?key=QyQT-I1ul1llO4FBdIRAwg

1. 간음죄 성립 요건 이해하기

간음죄는 크게 강간죄와 준강간죄를 예시로 들 수 있습니다. 먼저 강간죄 성립을 위해서는 폭행이나 협박이라는 수단이 필요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만약 강간죄를 부정하려 할 때 상대의 동의 여부가 중요하죠.

합의된 성관계였다면 강간죄 혐의를 부정해 보실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술자리에서 만난 상대방과 합의하에 모텔에 간 경우라면 간음죄 성립하기 어렵습니다. 


그렇다면 어떤 행위가 폭행이나 협박에 해당할까요? 대표적으로 밀치거나 잡아당기는 행위, 위협적인 말을 하는 것이 폭행·협박으로 인정됩니다. 특히 심리적 압박감이나 위협도 협박에 포함되기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다소 여러 행위가 포함되기 때문에 잘 감이 오지 않으실 수도 있겠습니다. 법원은 강간죄에서의 폭행 협박의 정도를 저항을 불가능하거나 현저히 곤란한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한편 준강간죄는 강간과는 다른 조건을 정해두고 있습니다. 준강간죄의 경우 사람의 심신상실 혹은 항거불능을 이용해야 성립합니다.


용어가 낯설어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우실 수 있겠습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평소와 다르게 판단 혹은 저항하기 어려운 상태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실제 사례를 보면 술에 취해 의식이 없는 상태의 피해자를 간음한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수면제 등의 약물을 먹여 의식을 잃게 한 후 간음한 경우도 준강간죄가 성립 가능합니다.


2. 간음죄 입증책임과 증거수집 방법

간음죄는 기본적으로 검사에게 입증책임이 존재합니다. 그렇다고 하여 말로만 억울하다는 주장을 하시면 안 됩니다. 상대방의 진술이 주요 증거로 받아들여져 본인의 혐의가 인정될 수도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직접 본인이 강간 혹은 준강간을 하지 않았다고 입증하기란 상당히 까다롭습니다. CCTV나 목격자 진술 같은 직접증거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정황증거 수집에 주목하셔야 합니다. 혹시 사건과 관련된 다음의 자료를 보관하고 계신가요? 



*정황 자료의 예시

1) 사건 당시 통화내역

2) 메시지

3) 사건 전 혹은 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이나 영상 자료 



이런 자료들은 주장의 신빙성을 높여줄 수 있는 중요한 정황 증거가 되곤 합니다. 이에 따라 혐의를 받은 즉시 관련 자료 수집하고 정리해두는 게 좋습니다. 


한편 증거수집 과정에서 주의할 점도 있습니다. 증거 확보를 위해 무리하게 상대방과 연락하다가 불리한 말을 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연락 내용이 상대방에게 유리한 증거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 


3. 간음죄 법적 처벌과 양형기준

간음죄 처벌수위는 사건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기본적으로 강간죄와 준강간죄는 3년 이상 유기징역을 기준으로 형을 정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그렇지만 구체적으로 양형을 정하는 과정에선 다양한 요소가 고려됩니다. 법원은 범행 동기와 수단, 피해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형을 정합니다. 예컨대 첫 범죄인지 계획된 범행이었는지에 따라 형량 조정이 가능합니다. 


특히 법원은 범행 당시 음주상태였는지, 우발적이었는지 등도 중요하게 봅니다. 또한 공범 여부나 범행 횟수에 따라서도 형량이 달라질 수 있어요. 


여기서 집단 성폭행이 인정된다면 단순 강간 혹은 준강간이 아닌 특수강간 성립이 가능합니다. 이러면 처벌 기준이 7년 이상의 징역으로 크게 올라가지요.


한편 선처를 준비하고자 하실 경우 집행유예 가능성도 검토해 볼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법원은 양형기준을 살펴보는데요. 


특별양형인자와 일반양형인자를 구분하여 적용하고 있습니다. 각각의 가중요소와 감경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합니다.


4. 형사절차가 진행되는 과정동안

간음죄 혐의로 인해선 먼저 경찰조사에 대비하셔야 할 수 있겠습니다. 수사관 질문에 즉흥적으로 답하다 보면 실수할 수 있는 만큼 변호인과 미리 충분한 대화 나누고 예상 질문에 대한 답변 시나리오도 준비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조사를 마치셨다면 조서 최종 서명 전 재검토하는 것도 필수고요.  진술 취지와 다르게 기재된 부분이 종종 나오기 때문에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한편 경찰이 혐의가 없다 판단하지 않는다면 검찰로 송치가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검찰로 송치되면 기소/약식기소/불기소 여부 결정을 위한 2차 수사 진행될 수 있고요.


이때는 경찰수사 때보다 더 치밀한 준비 필요합니다. 검찰조사에 대비해 진술이나 물증 등 유리한 증거들 미리 준비해두어야 하죠. 마찬가지로 일관적 진술이 중요하기 때문에 경찰 진술과 모순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한편 결국 재판이 결정되었다면 책임 있는 태도로 출석하고 치밀하게 준비한 변론을 진행하셔야 합니다. 이때 감정적 대응은 피하고 객관적 사실관계 중심으로 진술하는 것이 권해집니다. 


또한 재판부 질문에는 간단명료하게 답변하되 중요한 부분은 놓치지 말고 강조하셔야 하고요. 


-


간음죄에 연루되실 경우 현재 처한 상황이 막막하고 두려우실 수 있습니다. 그렇다고 해도 법적 절차에 따라 차근차근 대응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글에서 설명드린 간음죄 관련 내용을 참고하여 늦지 않게 대처해 보시길 권해드리겠습니다.


만일 수사부터 재판까지 각 단계별로 적절한 대응 방안을 숙지하고 준비한다면 좀 더 체계적으로 움직이실 수 있을 것입니다. 


AD_4nXdMUeLMKC5YSXYO8FD96UsPHX7ZXpiP3RoUYyIH_SV-GijVyeQpodawNk6E0AL2J8n5neFOpwznwgQIrPsXWp4vM_34ApuwMDILEcGWB70PtZR6_DbTifJGnOCRlgdEXA-tWUYILlVToxY2gWb1x4tOYHTA?key=QyQT-I1ul1llO4FBdIRAw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