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주 매거진MAGAZINE

칼럼

무고역고소 억울한 성범죄혐의여도 신중해야 한다고요?

페이지 정보

법무법인동주

본문

무고죄역고소 억울한 성범죄혐의여도 신중해야 한다고요?


무고역고소
 



목차
1) 무고죄는 무엇이고 어떤 때 성립하나요?
2) 증거 수집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3) 우선순위가 있다고 들었는데요?
4) 어떤 절차가 진행될 수 있나요?
5)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고요?



억울하게 성범죄혐의를 받아 무고역고소를 생각하고 계시나요? 억울한 성범죄 누명을 쓰게 될 경우 사회적 평판이 무너질 수 있죠. 


단 한 번의 허위 고소만으로도 직장에서 퇴사 압박을 받거나, 가족들에게조차 의심받는 상황을 겪을 수도 있습니다. 특히 SNS를 통해 사실 여부와 상관없이 소문이 퍼지면 회복이 어려워지는데요. 


이런 상황에서 무고역고소는 자신의 결백을 증명하는 중요한 법적 수단으로 여겨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비록 억울할지라도 신중하게 법적 절차와 입증 방법을 제대로 체크하고 나서 접근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시간과 비용만 낭비할 수가 있거든요. 오늘 글을 통해 무고죄의 정확한 의미와 절차, 그리고 적절한 대응 방법에 대해 체크해 보시길 바랍니다.


AD_4nXeon_QGsOHDyFsbJ-GwDA3rV9g3-bTqG7TETmpAUv-uVx0m4J7dMQXf0z3yCx02juS-EkljiMxz3Xz9RD91ONNgjZ-gb4n9N9Uig3oymLDmqdaJY8OH0F4cTIQLPoARFnbDVLsnR32JPoakkbXxfGuFY3Gi?key=QyQT-I1ul1llO4FBdIRAwg


1) 무고죄는 무엇이고 어떤 때 성립하나요?

무고역고소를 고려하기 전에 무고죄를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무고죄는 형법 제156조에 규정된 죄로, 타인을 처벌받게 할 목적으로 허위사실을 신고했을 때 성립하는 죄입니다. 


쉽게 말해 누군가가 거짓으로 저를 고소했다면 무고죄 성립을 따져볼 수 있는 것이지요. 다만 무고죄 성립은 그렇게 단순하지가 않은데요.


본 죄가 성립하려면 '허위사실'이 사용되어야 하고 '타인을 처벌받게 할 목적'이 분명해야 합니다. 


허위사실은 범행 성립에 상당한 영향을 미쳐야 하기 때문에, 단순히 일부 허위사실이 포함되었다는 정도로는 무고죄가 성립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현실에서는 단순히 억울하다는 감정만으로 고소 절차를 진행하면 법적으로 인정받기 어렵지요. 


특히 성범죄혐의와 관련된 무고죄 고소는 더욱 신중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피해자의 주관적 인식과 객관적 사실 사이에 차이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지요.


때론 억울한 혐의도 벗지 못하고 2차 가해를 했다 여겨질 수 있다는 점 주의해 주시길 바랍니다.


2) 증거 수집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성범죄 무고역고소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바로 철저하게 증거를 수집하는 것입니다. 관련된 사례들을 보면 결정적인 증거 확보 여부가 사건의 성패를 좌우하곤 했습니다.


무고죄 고소를 고려할 때 살펴볼 증거 예시

 : CCTV 영상, 대화 내용이 담긴 메시지나 이메일, 통화 녹음 등 객관적인 증거. 


성범죄 사건의 경우 당시 상황을 증명할 수 있는 알리바이 증거 또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지요. 


다만 증거 수집 시 주의할 점은 불법적인 방법으로 증거를 수집하면 법정에서 인정받지 못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불법 장치를 이용하여 녹음한 내용은 증거로 인정받지 못할 수도 있으니 사전에 변호사와 상담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무고 사안에 대한 고소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감정적 대응보다는 차분하게 증거를 수집하고 정리하여야 한다는 점 명심하세요.


3) 우선순위가 있다고 들었는데요?

무고역고소를 하기 전에 반드시 알아두셔야 할 것이 있습니다. 무고 혐의로 고소를 하기 전에 결국 본인의 억울한 성범죄혐의를 먼저 벗어야 한다는 점인데요. 


무고죄가 성립하려면 상대방의 고소 내용이 '허위'여야 하므로 본인의 무혐의가 먼저 입증되어야 하는 것이지요. 


그렇다면 이를 입증하기 위해 현실적으로 어떻게 접근해야 할까요? 우선 본인에게 제기된 혐의 내용을 정확히 파악하고, 그에 맞는 방어 전략을 세워야 하겠습니다. 


가령 신체 접촉이 아예 없었다거나, 상대도 동의를 하였다는 점을 입증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편 초기 대응이 매우 중요한데 감정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차분하게 사실관계를 정리하고 필요한 증거를 확보하셔야 합니다. 


4) 어떤 절차가 진행될 수 있나요?

무고역고소를 결심하셨다면 실제 법적 절차와 소요되는 시간에 대해 현실적으로 파악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해당 절차는 어떤 단계로 진행될까요? 우선 경찰서나 검찰청에 고소장을 제출하면서 시작됩니다. 


이후 수사가 진행되고 검찰의 기소 여부 결정, 재판 과정으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짧게는 몇 달, 길게는 1년 이상 소요될 수 있고요. 


이렇게 무고 혐의에 대한 고소 이후에도 상당 기간 심적 스트레스와 시간적, 경제적 비용이 발생합니다. 특히 성범죄혐의 관련 무고죄 사안의 경우 입증이 까다로운 편이라 더 오랜 시간이 소요되곤 합니다. 


무고죄에 대한 고소를 진행하기 전에 이러한 현실적인 부분도 충분히 고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5) 실패하는 경우가 많다고요?

무고역고소의 실제 성공 가능성은 어느 정도일까요? 솔직히 말씀드리자면, 무고 혐의가 인정되어 처벌이 나오는 사건은 생각보다 많지 않습니다. 다수의 사건들이 기소조차 이루어지지 않는데요. 


이는 무고죄의 특성상 '고의성'과 '허위사실'이라는 두 가지 요건을 모두 입증해야 하는데, 이게 생각보다 훨씬 까다롭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현실적으로 실익이 있는 절차인지 생각해 보셔야 합니다. 무고역고소를 진행하더라도 상대방이 처벌받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미리 인지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법적 절차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본인의 사생활이나 개인정보가 추가로 노출될 가능성도 있으니, 이에 대한 심리적 준비도 필요하고요. 

-

무고역고소는 억울한 성범죄혐의로부터 자신을 방어하는 중요한 법적 수단으로 생각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감정적 대응보다는 철저한 준비와 증거 수집이 필요합니다. 


아울러 본인의 무혐의 입증이 선행되어야 하며 법적 절차에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만약 억울한 상황에 처하셨다면 전문가와 상담하여 자신의 상황에 적절한 대응 방법을 찾으시길 권해드리겠습니다.


AD_4nXeon_QGsOHDyFsbJ-GwDA3rV9g3-bTqG7TETmpAUv-uVx0m4J7dMQXf0z3yCx02juS-EkljiMxz3Xz9RD91ONNgjZ-gb4n9N9Uig3oymLDmqdaJY8OH0F4cTIQLPoARFnbDVLsnR32JPoakkbXxfGuFY3Gi?key=QyQT-I1ul1llO4FBdIRAw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