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주 매거진MAGAZINE

칼럼
성범죄전문변호사 강간무혐의 주장 전 주목할 '이것'
법무법인동주
본문

성범죄전문변호사
 

서로 합의하에 관계를 가졌음에도 상대방이 성폭행으로 고소를 했다면, 당황스러움과 억울함이 클 것입니다. 강간무혐의를 주장하고자 할 때, 어떤 점에 주목해 대응해야 할지 차근히 짚어 보겠습니다.



f4d7c9d78fe718e2cabbdea11bac47ff_1757908895_11.jpg



안녕하세요. 성범죄전문변호사 조원진입니다.


1. 강간과 준강간, 혐의의 성립 요건이 다릅니다

많은 분들이 성폭행 사건으로 고소를 당하면 모두 같은 죄로 생각하지만, 성범죄전문변호사의 시선에서 보면 강간죄와 준강간죄는 명확히 구분됩니다.

두 혐의 모두 처벌 기준은 ‘3년 이상의 징역형’으로 같지만, 구성 요건이 다릅니다.

  • 강간죄: 상대방이 저항할 수 없도록 폭행이나 협박을 가했을 때

  • 준강간죄: 상대방이 술, 약물 등으로 판단 능력이 없거나 저항하기 어려운 상태를 이용했을 때  

따라서 본인의 상황이 어떤 혐의에 해당하는지를 먼저 파악해야 하며, 이는 고소장 열람(정보공개청구 절차)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강간무혐의 주장을 뒷받침할 근거는 ‘증거’입니다

많은 의뢰인들이 “증거가 중요하다고 들었는데, 내 상황에선 무엇을 제시해야 할지 모르겠다”고 말씀하십니다. 성범죄전문변호사로서 말씀드리자면, 무혐의 주장의 핵심은 ‘합의된 관계였음을 보여주는 증거’입니다.

다음은 강간무혐의에 유효한 자료의 예시입니다.

  • 성관계 전후로 서로 긍정적 감정을 나눈 메시지나 카카오톡 대화

  • 성관계 이후에도 평소처럼 만남이나 연락을 이어간 정황

  • 블랙박스·CCTV 영상 등 평상시와 다를 바 없는 행동이 담긴 자료

  • 고소 동기에 의심이 가는 정황 (금전 문제, 감정 다툼, 외도 등)

이 중 일부는 시간이 지나면 확보가 어려워지므로, 무혐의 주장을 준비할 때는 초기에 성범죄전문변호사와 함께 증거 확보 전략을 세워야 합니다.


 

3. 실제 사례 – 자발적 관계였지만 성폭행 고소를 당한 경우

20대 후반 남성 J 씨는 만남 어플을 통해 알게 된 여성 N 씨와 여러 차례 만나며 친밀해졌습니다. 두 사람은 어느 날 와인을 마신 뒤 자연스럽게 성관계를 가졌고, 당시 서로 합의하에 이루어진 관계였습니다.

하지만 며칠 후 N 씨가 J 씨를 성폭행 가해자로 고소했습니다. J 씨는 억울함을 호소하며 저를 찾아오셨습니다.

사건을 검토한 결과, 상대의 진술에는 불일치와 과장된 부분이 보였고, 저는 합의된 관계였다는 점을 입증하는 방향으로 대응했습니다.

  • N 씨와 주고받은 대화 내용, 만남 이후의 메시지 등 확보

  • CCTV 및 블랙박스 영상을 통해 평온한 분위기 입증

  • 경찰 조사 시 일관된 진술 유지하도록 조력

  • 변호인의견서에 강간무혐의 근거를 구체적으로 정리해 제출

결국 검찰은 혐의없음 처분을 내렸고, J 씨는 억울한 처벌 위기에서 벗어났습니다.


 

4. 사건 초기부터 전문 변호사와 함께해야 합니다

성폭행 사건은 ‘동의의 유무’라는 모호한 문제를 다루기 때문에, 혼자 대응할 경우 말 한마디, 행동 하나로 불리한 방향으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특히 경찰 진술 단계부터 성범죄전문변호사가 참여하면 진술의 일관성을 유지하고, 반박 논리를 명확히 세울 수 있습니다.

합의된 관계였음에도 억울하게 성폭행 혐의를 받았다면, 무작정 부인하기보다 법률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체계적인 방어 전략이 필요합니다.

성범죄 사건은 초기에 어떤 선택을 하느냐가 결과를 좌우합니다. 혼자 고민하지 말고, 성범죄 사건을 다수 맡아온 성범죄전문변호사 조원진과 함께 사건의 방향을 바로 세워 보시기 바랍니다.


f4d7c9d78fe718e2cabbdea11bac47ff_1757908894_9274.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