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주 매거진MAGAZINE

칼럼

준강제추행 처벌 기준과 선처받기 위한 팁

페이지 정보

법무법인동주

본문

준강제추행

AD_4nXeL8wVaFWF_UUAaTl2CIWWU73QeqCpb3ZGdwb4jOOS9rW-ngVRxX7X0V2OHKxdxtN6Hl-DgF3zB4pux5MRLIUJ9xkI30bvtIULaiqLA9KHI1YF663oHTRD0rOFsUC0a_Iwgtth3Yw?key=ZCQKc65kOsLOrnzr2AwDkA

AD_4nXdU-ezV0s6lVHZCecG9I9bC6Uu5g-Gw5erwXUKYCVggx52a0rWp8V60YpN3UTVg4Lr4pOwTqqwhH2BaEECw0x9Vd8H__wK-H658pKR2pS-9nscBTDdWGBmsTdTT_nIqI8RKpdrV?key=ZCQKc65kOsLOrnzr2AwDkA

준강제추행 처벌 기준과 선처받기 위한 팁


갑작스럽게 준강제추행 혐의를 받게 되면 당황스럽고 막막한 기분이 들 수 있습니다. 평범한 일상을 보내던 중 뜻밖의 신고를 받거나 조사 대상이 되면,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혼란스러울 것입니다. 법적 용어는 낯설고, 사건이 어떻게 진행될지 알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차분하게 상황을 파악하고, 법률적인 조언을 구하면 대응 방향을 설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준강제추행의 법적 기준과 처벌 수위, 그리고 불필요한 법적 위험을 줄이기 위한 실질적인 조언을 다룹니다. 


끝까지 읽는다면 현재 처한 상황을 보다 정확히 이해하고, 올바른 대처 방안을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준강제추행이란? 법적 기준과 처벌 수위

준강제추행은 상대방이 정상적인 판단을 하거나 저항할 수 없는 상태임을 이용해 신체 접촉을 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 


흔히 술에 취해 의식이 흐려진 상태, 약물 등의 영향으로 판단력이 둔해진 상태에서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형법 제299조에 따르면, 준강제추행은 최대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500만 원 이하의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다만, 구체적인 상황과 행위의 정도, 증거 유무 등에 따라 처벌 수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건이 발생했을 때는 법적 기준을 정확히 이해하고, 자신의 입장에서 어떻게 대응할지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초기 대응이 중요한 이유

준강제추행 혐의를 받았을 때, 가장 중요한 것은 성급하게 대응하지 않는 것입니다. 경찰 조사에서 불리한 진술을 하면 이후 법적 절차에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신중하게 상황을 정리하고, 사실관계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습니다.

조사를 받기 전, 사건 당시의 정황을 가능한 한 정확하게 기억하고 정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누구와 어디에서 있었는지, 어떤 대화가 오갔는지, 당시의 분위기와 주변 사람들의 반응 등을 상세히 정리해 두면 객관적인 사실관계를 입증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변호사의 조력을 받는 것이 필요한 이유

성범죄 사건은 법적 절차가 복잡하고, 사회적 파장이 클 수 있습니다. 따라서 준강제추행 혐의를 받았다면 변호사의 조력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전문가와 상의하면 사건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법적 대응 전략을 세울 수 있습니다.

변호사는 혐의에 대한 법적 검토뿐만 아니라, 증거 수집과 진술 조율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사건의 경중에 따라 기소유예, 감형 등의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적절한 대응 방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준강제추행 무혐의 이끌어낸 사례

사건의 경위

김 모 씨(35)는 직장 동료들과 술을 마시고 귀가하는 길에, 함께 있던 A 씨가 몸을 가누지 못하는 모습을 보게 되었습니다. 


평소 친분이 있던 사이였기에 자연스럽게 A 씨를 부축하고, 택시를 태우는 과정에서 신체 접촉이 있었습니다. 


이후 A 씨는 자신이 원치 않는 신체 접촉이 있었다며 경찰에 신고하였고, 김 씨는 갑작스럽게 준강제추행 혐의를 받게 되었습니다.


동주의 조력

김 씨는 억울한 마음이 컸지만, 자칫 잘못 대응하면 불리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알고 바로 변호사를 선임했습니다. 


동주 변호인단은  사건 당시의 정황을 면밀히 분석한 후, 김 씨가 적극적으로 신체 접촉을 시도한 것이 아니라 A 씨를 부축하는 과정에서 오해가 발생한 것이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또한, 사건 당시의 CCTV 영상과 주변 목격자들의 진술을 확보하여, 강제적인 행동이 없었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사건의 결과

그 결과 검찰은 김 씨의 행위가 고의적인 추행이 아니었다고 판단하여 무혐의 처분을 내렸습니다.


글을 마치며

준강제추행 혐의를 받게 되면 예상치 못한 상황 속에서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감정적으로 대응하기보다, 법적 절차를 이해하고 신중하게 대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사건 초기에 변호사의 조력을 받아 대응 방향을 설정하면, 불필요한 법적 위험을 줄이고 유리한 결과를 얻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AD_4nXdU-ezV0s6lVHZCecG9I9bC6Uu5g-Gw5erwXUKYCVggx52a0rWp8V60YpN3UTVg4Lr4pOwTqqwhH2BaEECw0x9Vd8H__wK-H658pKR2pS-9nscBTDdWGBmsTdTT_nIqI8RKpdrV?key=ZCQKc65kOsLOrnzr2AwDkA